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대한민국의 미래인 청년들을 3포 세대(연애, 결혼, 출산)를 넘어 이제는 N포세대라고 합니다.
수많은 청년들의 꿈들이 아스라이 사라지는 듯해서 마음이 아픕니다. 이러한 작금의 상황에서 조금의 희망적인 소식이 있어서 전하려고 합니다. 그것은 바로 청년도약계좌 시행입니다. 청년들의 조금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또한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 이러한 제도에 관심을 가지고 신청해 보세요. 이에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매달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시 수령가능합니다. 현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인 "청년에게 공정한 도약의 기회보장"의 일환으로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되었고 2023년도에는 청년도약계좌 예산으로 3,678억을 편성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신청대상은 누구인가?
개인소득과 가구소득기준을 충족한 만 19세에서 34세 청년이면 됩니다. 개인소득 6천만원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이며 병역병행기간은(최대 6년) 연령계산시 미산입 해줍니다. 개인소득이 6천만원이상 7천 5백만원 이하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 가입은 가능하지만 정부기여금 없이 이자소득 비과세혜택만 부여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자산형태는 어떻게되는가?
청년 본인이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을 하면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기여금 지원을 해줍니다. 만기시에 총 얻는 자산은 본인납입금과 정부기여금 그리고 금융기관 이자를 포함한 금액입니다. 여기에 이자소득은 비과세혜택을 적용합니다.
그리고 정부기여금은 개인소득과 납부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금융기관 금리는 가입 후 3년(이상)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취급기관별 금리현황은 금융협회 홈페이지에서 게시할 예정입니다. 소득 24백만원 이하인 저소득층 청년들에게는 우대금리를 부여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청년자산의 형성을 위해서 기존의 청년정책상품과도 동시허용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언제, 어디서 신청하나?
2023년도 6월 중에 신청접수를 받고 청년도약계 상품취급공고는 추후에 예정되어있습니다. 가입신청과 소득심사 그리고 유지심사로 이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상기에 있는 내용을 아래와 같이 요약해 드리면서 대한민국의 청년들에게 다시 한번 파이팅 하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